요즘 애즈락 인텔보드 라인 쪽으로 왜 이러는지 또 하나의 제품을 내 놓았습니다.
가격도 이상합니다. 디럭스보다 구성이나 기능면에서 좀더 좋을 것 같은데도 저렴하게 출시해 버렸네요.
아수스가 언제부턴거 고급화된 제품으로 승부를 본다고 한다면 애즈락은 밸류급 라인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주지 않을
까 이래 짐작 해봅니다.
보드 박스 사진 앞면 뒷면 각 그림에 대한 설명을 부각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한눈에 보기 쉬운 정도
로 박스 다자인도 세심하게 신경을 쓴 모입니다. 애즈락이 그만큼 중저가 시장을 탐내고 있다고 봐도 될것 같네요.
애즈락 보드 전면입니다. 어디서 많이 본것 같은 저 방열판.. P6T WS PRO 에 장착되어 있는 것과 매우 비슷해 보입니
다. 색상만 약간 다른것 같은 느낌이랄까요?
램 슬롯 부분입니다. 자신있게 2000Mhz 를 지원한다는 문구를 내걸고 있습니다. 아수스라인에서는 블랙 슬롯이 램클
럭이 더 먹었다면 애즈락은 화이트 슬롯이 더 잘 먹는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메모리 2000Mhz를 지원하는 문구를 걸게 할 정도의 자신감은 램슬롯 사이드에 있는 쵸크테일이 그걸 대신해 주지 않
나 싶네요. 부족함이 전혀 없어 보입니다.
사우스 브릿지 부분과 Ez 버튼과 현재 상태를 알수 있는 디버그 LED가 제공됩니다.
개인적으로 디버그 LED가 있는 것은 좋지만 각 코드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것이 좀 아쉽긴 합니다.
애즈락의 공간 창출 장점입니다. 아무런 문제없이 트리플 크파나 SLI가 가능합니다. 간혹 아수스 P6T 디럭스만 보더라
도 트리플까지 장착이 불가능 하지요. SuperComputer 에서는 쿼드 크파나 SLI가 가능한다지요?
과연 20만원 중반대에서나 볼수 있는 후면부의 모습인지 다소 의아합니다. EZ CMOS 클리어 버튼은 물론이고, 기본적
인 것은 물론이고, 다소 부담 스러울 정도의 포트들이 눈에 보입니다. 특히.. 이 중에서..
Power를 제공하는 USB, eSata 포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간혹 외장 하드를 연결하다 보면 포트에에 대한 전력이 부
족하여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지만 애즈락 X58 Extreme 보드에서는 이에 대한 걱정을 덜을 수 있을 것 같네요.
시피유 소켓 주변주입니다. 페이즈가 전부는 아니지만 부족하지 않은 만큼의 수로 넉넉하게 지원하고 있네요.
박스 겉면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부분인 8페이즈의 전원부 모습입니다.
노스 브릿지 부분입니다. 이건 머 거의 아수스 P6T WS Pro와 동일한 것 같네요.
클럭 제너레이터 컨트롤러 팁입니다. ICS9LPRS918JKLF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
보드 후면부입니다.
간단한 테스트를 하기에 앞서 기존 시스템을 분해하기전에 한컷 찍어 보았습니다.
먼가 많이 닮지 않았나요? 여담으로 닮은 것 같아 P6T WS PRO 방열판 떼어내서 장착해보았지만 잘 맞진 않네요.
간단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모습
시피유 : 블룸 필드 D0 920
그래픽카드 : ZOTAC GTX260 896MB
램 : OCZ PC3-144400 2GB ( 1GB x 2)
하드 디스크 : 랩터 36기가
쿨링 장치 : 써멀라이트 울트라 익스트림 120 + 에너맥스 왑 120 미리, 커세어 램 쿨러
파워 : 피파쿨 750와트 사일런스
맨 처음 켯을때 나타나는 부팅 로고입니다. 나름 멋집니다.
[최대 BCLK 테스트]
조금 기대를 했던 탓인지.. 마의 고지 220은 넘지 못하였네요.
32메가 파이는 그리 높지 않은 QPI 전압으로도 동작하였습니다.
[3DMark06 테스트]
여느 보드와 비슷하게 4.4Ghz에서 3DMark06 돌려보았습니다.
ATI 4870x2 2GB로 돌렸으면 좀수는 좀더 나와줬을텐데 아쉽네요
32메가 파이가 한계점은 거의 아수스 P6T WS PRO 와 비슷한 클럭인 4.5Ghz에서도 통과하였습니다.
x58 Extreme에 내장된 EUP 전력 관리에 대한 보조 설명
아직가지 EUP를 지원하는 파워 서플라이가 존재하지 않아 아직은 사용할 수 없는 기술이긴 하나? 앞으로 EUP 지원
파워가 출시만 된다면 가격적 메리트는 더욱 더 상승될 것으로 보입니다. 전기세 절감.. 요즘 민감한 부분이니깐요.
[결론..]
현재 각 메인보드 제조사 별로 네할램 메인보드의 가격이 높은 것을 인지하여 유저들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한 보드들
을 출시하고 있습니다. ASRock x58 Extreme도 이와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.
애즈락은 연구소라고 불리울 만큼 가격대비 성능인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.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오버클럭
유틸리티 및 전력 관리 유틸리티는 물론 트리플 크파나 SLI를 지원하는 확장성까지..
한가지 아쉬운 점은 아직까지는 메모리 오버클럭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습니다. 제 엘피다 램이 RMA 보내져서, 고클럭
위주의 높은 테스트는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만.. D9 계열의 크루셜 PC3-12800 2GB, OCZ PC3-12800 2GB로 해본 결
과 높은 클럭에 도달 할 수 없었습니다.
P45 보드에서도 그랬지만 램오버쪽에는 아직 힘좀 써야할 듯 싶네요.
이상 리틀보이 박석현이였습니다.
'Mainboar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VGA E759 BCLK 250 Over Setting (0) | 2009.08.11 |
---|---|
EVGA Classified E760 SLI 바이오스 가이드 (0) | 2009.08.08 |
Asrock p45x3 Deluxe 프라임 테스트 (2) | 2009.07.11 |
ABIT IP35 PRO (0) | 2009.07.07 |
Rampage Formula Review (0) | 2009.07.07 |